티스토리 뷰
온라인 특허 출원, 이렇게 하면 된다
요즘 특허출원의 98% 이상이 인터넷으로 이뤄진다. 덕분에 심사 기간은 40% 가까이 줄고, 출원 수수료도 대폭 절감됐다. 실제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하다. 아래 단계와 사례를 따라 하면 누구나 집‧사무실에서 특허를 출원할 수 있다.
1. 사전 준비 3종 세트
준비 항목 | 내용 |
특허고객번호(출원인 코드) | 특허청이 부여하는 고유 ID. 특허로 사이트 → 출원신청 → 출원인코드 부여신청 메뉴에서 발급한다. |
공인인증서 등록 | 발급받은 공동인증서를 특허고객번호에 연결해야 전자서명이 가능하다. |
전자서명 환경 | 온라인 제출자는 인증서로 전자서명해야 한다. |
접속 가능 시간은 평일·토요일·공휴일 24시간, 일요일은 10:00~24:00다.
2. 필요 서류 한눈에 보기
서류명 | 필수 여부 | 작성 팁 |
특허출원서 | 필수 | 출원인·발명자·발명명칭 등 기본 정보 기재 |
명세서 | 필수 | 발명 설명 + 청구범위 포함 |
도면 | 선택 | 구조·작용을 시각화할 때 첨부 |
요약서 | 필수 | 200자 내외 요약 작성 |
명세서와 도면은 특허청 제공 NKEditor(전자문서작성기)에서 작성하면 형식 오류를 줄일 수 있다.
3. 온라인 출원 6단계 절차
단계 | 화면 메뉴 | 주요 작업 |
1 | 특허로 로그인 | 고객번호+인증서 로그인 |
2 | 출원신청 → 국내출원 → 특허 | 전자출원서 서식 열기 |
3 | 출원인·발명자 정보 입력 | 자동으로 고객번호가 채워진다 |
4 | 명세서·도면 첨부 | NKEditor 파일 연결6 |
5 | 전자서명 및 접수 | 완료 후 ‘출원번호통지서’ 즉시 발급 |
6 | 관납료 납부 | 다음 영업일까지 수수료 납부해야 접수 유지 |
4. 실전 사례 2가지
사례 ① 스타트업 ‘AI핏’의 3D 카메라 특허
- 고객번호·인증서 등록까지 하루 소요.
- NKEditor에서 명세서 작성(도면 5장 포함).
- 저녁 9시에 온라인 접수 완료, 즉시 출원번호 통지.
- 익일 오전 지로로 수수료(특허출원료 47,000원) 납부.
전체 과정이 이틀도 채 걸리지 않았다.
사례 ② 소상공인 ‘박 사장’의 커피머신 보온 기술
- 명세서만 먼저 제출하고, 도면을 당일 자정 전에 추가 제출했다.
- 전자서명 오류가 났지만, 인증서 재등록 후 재접수로 즉시 해결했다.
- 일요일 11시 출원이라 접수 가능 시간이 10시 이후라는 점을 놓치지 않았다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- Q. 오프라인 제출보다 온라인이 왜 유리한가?
- A. 심사 기간이 약 16개월 단축되고, 비용도 30% 이상 줄어든다.
- Q. 명세서가 아직 미완성인데 출원부터 눌러도 되나?
- A. 서류 미비 시 14일 이내 보정 요구가 오므로, 핵심 내용만 담았더라도 먼저 출원해 우선일을 확보할 수 있다.
- Q. 공동 발명자는 어떻게 기재하나?
- A. 출원인 정보 탭에서 ‘추가’ 버튼으로 공동 발명자 수만큼 행을 늘리고 각각 고객번호를 입력하면 된다.
- Q. 수수료는 어디서 내나?
- A. 특허로 → 관납료 납부 메뉴 또는 인터넷지로(Giro) 사이트 모두 가능하다.
6. 마무리
온라인 특허 출원은
- 고객번호 발급, 2) 인증서 등록, 3) 서류 준비, 4) 전자서명 접수, 5) 수수료 납부
- 딱 다섯 단계면 끝난다. 준비 서류만 갖춰 두면 주말 밤에도 10분 만에 출원이 가능하다. 위 절차와 사례, 도표를 참고해 내 아이디어를 가장 빠르게 권리화해 보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