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기술보증기금(기보)의 보증연계투자의 방식과 장단점
기술보증기금(기보)은 기술력과 사업성이 우수한 창업기업에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하게 되는데 그 방식과 장단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투자 방식
- 주식 투자: 기보는 주로 우선주를 통해 투자하며, 이는 민간 벤처캐피탈(VC)와 유사한 방식이다. 우선주는 상환권과 전환권을 포함하여 투자자에게는 안정성을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경영권을 확보하게 해 준다.
- 기업이 우선주를 발행하여 기보로부터 10억 원의 투자를 받는다고 가정 할 경우, 기보는 A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지만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경영에는 참여할 수 없으나, 향후 기업의 성과에 따라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.
- 전환사채(CB) 및 신주인수권부사채(BW) 인수: 일정 기간 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와 신주 인수권을 부여받아, 향후 기업의 성장에 따라 추가로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.
- Convertible Note (CN) 및 SAFE: 초기 투자 시 기업 가치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, 미래의 특정 조건에서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노트 형태로 투자한다. SAFE는 초기 투자 시 기업 가치를 정하지 않고, 후속 투자 시 기업 가치에 따라 지분율을 결정하는 방식이다.
2. 보증연계투자의 장단점
기보의 보증연계투자는 다른 투자 방식과 비교했을 때 여러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:
장점
- 경영권 탈취 위험 최소화: 정부기관 투자로 경영권 탈취의 위험이 적다.
- 재무구조 개선: 주식 및 주식관련사채 발행을 통해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.
- IPO 준비 지원: 정부기관의 신뢰도가 높아 IPO 준비에 유리하다.
- 다양한 투자 방식: Convertible Note, SAFE 등 다양한 투자 방식을 제공한다.
- 벤처투자 활성화: 창업기업에 대한 선도적 투자 지원을 강화한다.
- 신뢰성 확보: 기보와 같은 정부기관의 투자는 기업의 신뢰성을 높여, 후속 투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. 이는 기보의 투자가 기업의 기술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았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.
단점
- 정부기관의 절차적 복잡성: 정부기관의 절차가 복잡하여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- 지원 조건의 제한: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, 이를 만족하지 못하면 지원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많은 기보의 보증 연대 투자는 받을 수만 있다면 무조건 받는것이 유리하겠습니다.
반응형